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드로이드 9.0프로토콜 변경사항] Retrofit2로 API테스트를 하다가 계속해서 통신이 안되는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cleartext communication to {ip} not permitted by network security policy 라는 오류였습니다. 처음에는 API서버에서 network를 막아놨나 했지만 검색해보니 금방 원인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안드로이드 OS9.0 pie부터 모든 네트워크에서 http가 아닌 https를 사용하도록 한 것입니다. 만약 http를 사용하려면 설정을 한 후 사용이 가능하였습니다. 해결법 Manifest파일에서 android:usesCleartextTraffic 값을 true로하여 선언해주면 됩니다. 다른 방법도 있지만 위 방법이 제일 간편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다시 테스트하러 가보겠.. 더보기 'str' object has no attribute 'decode' 학습시킨 딥러닝 모델을 로드하여 실시간 추론을 하려고 코드를 작성하였는데 'str' object has no attribute 'decode'라는 오류가 발생하였다. 검색을 해보면 대체적으로 h5py 버전 문제라고 하는데 또 해결방법은 엄청다양하게 있다. h5py패키지를 다시 설치해보거나 markdown 이라는 파일을 인스톨 해보라고 하는데 나는 해봐도 안됬다. 그러다가 'pip install h5py==2.10.0 --force-reinstall' 이렇게 인스톨 하니까 정상작동 되었다. 강제로 다시 인스톨하라는 옵션인것 같은데 기본적으로 깔려있는 버전이 호환이 안되나보다. 암튼 해결! 더보기 콘다 env 생성 콘다 env생성하는걸 할 때마다 잊어먹어서 블로그에 써놔야겠다. - env 생성 $ conda create -n snowdeer_env python=3.5 - env리스트 $ conda env list -활성화 $ activate snowdeer_env -삭제 $ conda env remove -n snowdeer_env 더보기 yolo v3 SSD에 이어 yolo에 대해서 들여다 보았다. 현재 v4?버전 까지 나와있는거 같은데 나는 v3에 대해서만 글을 쓰려고 한다. 아래 네트워크 구조를 보면 굉장히 이해가 잘 되도록 설명되어있다. 차근차근 기억을 되집어서 얘기해보면 일단 backbone에서 feature map을 뽑아낸다. 크기가 13 * 13이 되면 여기서 1차적으로 detection한 결과를 뽑아낸다. 13*13이기 때문에 비교적 크기가 큰 물체를 detect하는 경향이 있다. 두번 째로 여기서 그치지 않고 13*13 featre map을 upsampling해서 그전에 가지고 있던 26*26 feature map과 합친다. 이렇게 되면 이점은 13*13에서 가지고 있던 추상화된 정보를 가지고 26*26에 합침으로서 더 풍부한 정보를 얻.. 더보기 SSD(Single Shot Detector) Faster RCNN을 뒤로하고 이제 SSD를 들여다 봤다. SSD는 Single Shot Detector로 yolo와 함께 1 stage detector로 동작한다. 논문에 기재된 SSD구조는 딱봐도 RCNN보다 훨씬 간단해 보인다. 간단히 보면 Multi-Scale Feature Layer 와 Default Box가 핵심요소인데 사이즈가 다른 여러개의 feature map에서 각 셀마다 convolution layer마다 정의된 Anchor box의 개수를 토대로 network를 돌리는 것이다. Detect한 Box의 결과를 모두 합쳐보면 8732개가 되고 이것을 NMS에 통과시켜 각 Object마다 적절한 Box를 남겨두는 것이라고 한다. 여기까지가 내가 이해한 내용인데 혹시 틀렸을 수도있다. 추가.. 더보기 Android4.2 SHA-1키 찾기 와...이거 하려고 지금 30분째 찾고있다. google에 아무리 검색해봐도 내 프로젝트에는 gradle파일에서 task라는 폴더를 찾을 수가 없다. jdk문제나 뭐 다른게 있어서 내 프로젝트가 빌드가 제대로안된건가 싶어서 환경변수도 확인하고 했는데 그래도 안나온다. 한창 동안 찾아보니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업데이트 되면서 숨겨놨다고 한다. 왜그런지는 모르겠다... 쓸모 없는 파일이라고 생각했나... 아무튼 간단한 방법을 찾았다. ctrl을 두번 누르고 gradle signingReport를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콘솔에서 SHA-1을 찾아준다. 아래와 같다. 검색결과를 올려보려고 했는데 키값들이 너무 적나라하게 나타나서 못올리겠다. 사진 편집해서 올리려고했는데 티스토리에서 바로 불가능해서 때려쳤다. .. 더보기 파트1. Login 오랜만에 글을 쓰는 것 같다. 생각보다 기록하는 일이 힘든것 같다. 그래도 다시 차근차근 기록해봐야지! 지금은 Login파트를 구현하고 있다. 아직 Spring API가 개발이 안되어서 Firebase로 기능을 대체하였다. Firebase써보니까 진짜 편리하다 코드도 짧고 설명도 잘되어있다. 쓰다보니까 그냥 login부분은 특별히 자체 컨트롤이 필요할 것 같지가 않아서 그냥 Firebase를 써도 상관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팀원과 회의해봐야겠다. 대략적인 것은 거의 구현했는데 이제 구글 로그인, 페이스북 로그인 해야된다... login만 해도 할게 은근히 많다 얼른 끝나고 home화면 구현해야지. 얼마전부터 틈틈히 Spring 공부도 하고 있다. 우리팀에서 서버개발 맡은 한 분이 탈주하셨다. 그래서 f.. 더보기 Android studio 오늘부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by kotlin)를 배우고 있다. 스파르타 코딩클럽의 강의로 듣고 있는데 생각보다 쉽게 설명해줘서 금방금방 따라가고 있다. xml로 화면 구성을 해보았는데 웹 개발보다 훨씬 간결하고 쉬운것 같다. 아직 초보단계라서 그런가...?? 아니면 웹보다 화면이 작아서 그런가....?? 아니면 Jetbrain이 툴을 슈퍼 잘 만든 것인가...?? 암튼 지금은 생각보다 많이 할 만하다. 특별한 건 없지만 기록에 남기기위해 화면을 붙여놔야겠다... 나중에 혹시 이 화면보고 엄청 이상하다고 안 웃었으면 좋겠다...!!! 아 르탄이가 나오기는 하는데 혹시 이런거 저작권에 걸리나..?? 그래서 혹시 몰라서 다리만 보이게 잘랐다. 아 블로그를 처음써봐서 그런지 어떻게 조심해서 글을 써야하는지 ..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